본문 바로가기

nephrology

Hypercalcemia

calcium 수치는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나, calcium 농도는 알부민과 혈장의 pH에 의해 변화함.

혈장 내 calcium은 단백질과 교합된 상태(유리 칼슘) 또는 이온화형으로 존재.

 

대부분의 calcium은 알부민과 교합해있고 기능상 비활성적임.(유리 칼슘 수치)

알부민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신체 내 calcium수치는 변화하게 된다.

 

이온화( ionized )형 calcium의 경우 부갑상샘에서 생성되는 PTH 호르몬에의해 조절됨.

알부민 수치와 독립적인 관계.

 

hypoalbuminemia의 경우 전체 calcium 수치는 저하되나, 이온화형 calcium의 수치는 정상적으로 나타남.

 

혈장 pH 변화에 따라 알부민과 교합하는 calcium 수치 변함.

H+와 calcium(Ca++)은 알부민과경쟁적인 결합을 하게 된다.

 

알칼리증(alkalosis)으로 인해 혈장의 pH가 증가하여 H+ 수치가 저하되면, 더 많은 calcium이 알부민과 결합.

전체적인 칼슘 수치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나, 기능상 활성적인 이온화형 칼슘의 수치가 저하.->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산혈증으로 인해 H+의 수치가 증가.->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pH가 증가하여 alkalosis, H+ 수치 저하, calcium+albumin 결합. => 저칼슘혈증, (단백질과 교합된 상태의 칼슘)

호르몬의 영향으로 이온화( ionized )형 calcium hypercalcemia 발생

cancer로 인한 hypercalcemia

혈액에 있는 Ca++ 뼈로 보내기위해 졸레드론산(골다공증 치료제) 사용 고려


 

 

칼슘수치를 관장하는 호르몬

  • PTH: 전체적으로 혈장의 칼슘 수치를 증가시키고, 인산의 수치를 저하시키게됨. (Ca++ 비례)
  • 칼시토닌: 갑상샘의 C-cell 에서 생성되는 호르몬. 혈장의 칼슘과 인산의 수치를 저하. (Ca++ 비례)
  • 비타민D: 전체적으로 혈장의 칼슘과 인산의 수치를 증가. (Ca++ 비례)

 


cancer hyperdcalcemia

HCM(악성 종양의 고칼슘혈증)

혈액 내 칼슘 수치가 암으로 인해 상승할 때 발생

진행성 암의 합병증이며 예후 불량.

 

<악성 종양 관린 고칼슘혈증>

혈청 칼슘 약 40-45%가 알부민에 결합. 알부민 수치의 변화에 따라 혈청 칼슘 수치가 변동.

이온화(ionized Ca:iCa) 또는 유리 칼슘(Ca) 수치 측정.

악성 종양 관린 고칼슘혈증 원인: PTH, 뼈 전이, 고비타민증

 

고칼슘혈증이 의심되는 경우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 이온화 또는 유리 칼슘 수치를 측정.

실제 우리 몸의 Ca = 혈청 Ca + 0.8 x (4 - 환자의 알부민 수치)

여기서 4.0g/dL 는 정상 알부민 수치.

위 공식은 알부민 수치가 낮은 경우에 적용.

 

 

 

혈청 칼슘 수치가 13mg/dL 초과하면 악성 종양 의심.(악성 종양은 고칼슘혈증의 가장흔한 원인)

 

PTH 수치를 확인해서 PTH 관련 고칼슘혈증과 비PTH 매개 고칼슘혈증을 구별

 

 

치료: 혈청 칼슘 수치 낮추고, 환자 증상 해결, 근본적인 원인 파악

저인산혈증은 고칼슘혈증을 동반하여 치료가 복잡해지므로 혈청 인 수치 모니처랑해서 인 보충.

초기 치료에 칼시토닌(Ca, P 수치 낮춰줌), 비스포스포네이트(골다공증치료제), IV NS(소변으로 칼슘 배출)

루프이뇨제(FURO)는 적절한 정맥주사 소생술이 이루어진 후에 투여

칼시토닌 투여(kg당 4IU)

신기능 장애 없는 환자에게 졸레드론산(4mg) 또는 파미드로네이트(60-90mg)와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신독성있음) 권장

글루코코르티코이드(HC)는 비타민D생성이 증가한 환자에게 고려.

혈액투석환자와 부갑상선암으로인한 고칼슘혈증 환자는 시나칼셋 사용

모든 전략이 다 실패하면 혈액투석으로 고칼슘혈증교정.

 

'nephr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G ratio reverse  (0) 2025.06.28
hyponatremia  (0) 2025.05.14
medication  (3) 2025.05.13
CKD  (1) 2025.05.13
AKI  (0)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