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I
증상
1) 신기능 저하로 인한 증상
소변량 감소 (Oliguria: 400-500 mL/day 미만, Anuria: 50-100 mL/day 미만)
질소 대사물 축적으로 인한 증상 (BUN↑, Cr↑) → 피로, 혼돈, 구역질, 구토
전해질 불균형 → Hyperkalemia, Metabolic Acidosis 발생 가능
2) 체액 과부하 및 전해질 이상으로 인한 증상
Edema→ 하지부종, 폐부종(호흡곤란, 저산소증 동반 가능)
Hypertension → 신장 내 나트륨 및 수분 저류
Pulmonary Edema발생 → 호흡곤란, 청색증
3) 신부전으로 인한 전신 증상
hperkalemia(K⁺ > 5.5 mEq/L) → 심전도 변화(T파 고봉화, 부정맥 위험 증가)
Metabolic Acidosis(HCO₃⁻ < 18 mEq/L) → 호흡곤란, Kussmaul 호흡
Uremia → 신경학적 이상(혼돈, 경련), 출혈 성향 증가(혈소판 기능 저하)
진단
1) 신장 기능 검사
Cr → 기준선 대비 0.3 mg/dL 이상 상승 시 AKI 가능성
GFR→ 감소 시 신기능 저하 평가
BUN/Cr 비율 → Prerenal AKI(>20:1) vs. Intrinsic AKI(<15:1)
2) 소변 검사(Urine Analysis, UA) 및 소변 전해질
소변 나트륨(FENa, Frac. Excretion of Na⁺) → Prerenal AKI(>1%), ATN(<1%) 감별
소변 단백(Proteinuria), 적혈구(RBC cast, 사구체신염 가능성), 백혈구(WBC cast, AIN 가능성)
3) 영상 검사(Kidney US, Renal Doppler, CT)
양측 신장 크기 및 요관 폐색 평가 (Postrenal AKI 감별)
혈류 이상 감별 (Renal Artery Stenosis, 신장혈전 가능성)
prerenal AKI | intrinsic renal AKI | postrenal AKI | |
신실질의 손상 없이 신장혈류 감소 | 신장 실질 손상 | 소변 배출 장애 | |
원인 | - 수분 부족(dehydration: diaarhea, vomigint, hypovolemic shock) - 저혈압(sepsis, heemorrhage) - 심장 혈류 감소 약물 사용: NSAIDs(프로스타글란딘 억제) ARB(-sartan)/ACEI(-pril)(신장 혈류 저하) |
- ATN(Acute Tubular cecrosis): ischemia, inflammation, toxins(aminoglycosides, NSAIDs, radiocontrast, cisplatin) - AIN(acute interstitial nephritis): penicillin, NSAIDs, PPI, sulfonamide, 감염, 자가면역질환 - AGN(acute glomerulonephritis ): SLE, PSGN(post streptococal glomerulonephritis) |
- 전립선질환 - 신경성방광 - 요관폐색 - 방광암 - 요관 결석 |
치료 | hydration sepsis의 경우 항생제 사용 및 nerepinephrine 등 혈관수축제 사용 NSAIDS, ACEI/ARB 중 |
ATN: 원인 약물 중단, hydration AIN: 원인 약물 중단, steroid AGN: SLE 감별 후 면역억제제 치료 |
foley catheter insert DJ stent nephrostomy |
CIN(contrast induced nephropathy, 조영제 신 손상)
NaHCO3 fluid 사용
NAC(N-acetylcystein)
#AKI on CKD
만성 신부전이 있는 상태에서 급성 신부전이 온 상태